본문 바로가기
- 과학이야기 -

북극에서 발견된 고대 화살벌레 화석, 5억 년 전 최상위 포식자였나

by KOREAN BANK CLERK 2024. 1. 6.

화석산지에서 극지연구소 연구진이 화석을 채취하고 있는 모습/극지연구소 제공

 

최근 극지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북극에서 발견된 화살벌레 화석이 5억 년 전 바다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였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 화석산지에서 평균 길이 10~15cm, 최대 30cm에 이르는 화살벌레 화석 13개를 발견했으며, 이 화석들 내부에서 다른 절지동물의 파편을 찾아내 이들이 다양한 해양 동물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연구팀은 발견된 신종 화석에 ‘티모레베스티아-코프리아이’라는 라틴어 학명을 부여했습니다. 이 연구는 고대 바다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중요한 발견으로, 향후 고대 생태계의 진화 및 생존 전략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는 가장 큰 원시 화살벌레 티모레베스티아의 표본. B는 화석의 형태 해석 그림. C는 여러 화석을 통해 3차원 모델로 재구성한 티모레베스티아의 내부 형태. D는 화석을 통태 유추한 티모레베스티아 모형/극지연구소 제공


5억 년 전의 최상위 포식자: 화살벌레

최근 연구에 따르면, 5억 년 전 바다에서 화살벌레가 최상위 포식자였을 가능성이 제시되었습니다. 이 발견은 북극에서 발견된 화살벌레 화석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현재 바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플랑크톤과는 크게 다른 과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극지연구소의 중요 발견

극지연구소는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 화석산지에서 대규모 화살벌레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이 화석들은 평균 길이가 10~15cm에 달하며, 일부는 최대 30cm에 이릅니다. 이 화석들 내부에서 다른 절지동물의 파편이 발견되어, 화살벌레가 거대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종 화석의 명명

연구팀은 발견된 신종 화석에 ‘티모레베스티아-코프리아이’라는 학명을 부여했습니다. 이 이름은 ‘공포스러운 괴물’을 뜻하는 ‘티모레베스티아’와 연구를 주도한 극지연구소의 이니셜을 의미하는 ‘코프리아이’에서 유래했습니다.

 

화살벌레의 포식 방식과 생태계 영향

박태윤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이 당시의 화살벌레는 먹이를 씹어 먹는 대신 통째로 삼키는 방식으로 포식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포식 방식은 당시 생태계 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며, 먹잇감들이 이 '공포스러운 괴물'을 피하기 위해 어떠한 생존 전략을 사용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