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이야기 -279

세상에서 가장 느린 실험 - 피치 낙하 실험(인터넷 주소) 피치는 흔히 아스팔트에 사용되는 '석유 부산물'이다. 망치로 내려치면 부서지기 때문에 '고체'로 여겨져왔다. 하지만 파넬 교수는 피치가 단순한 고체가 아니라 상온에서 아~~~주 느린 속도로 흐르는 액체라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것이 바로 '피치 낙하 실험' 1. 깔때끼에 녹인 피치를 붇고 굳을 때까지 기다린다. 2. 굳은 피치의 방울이 떨어질 때까지 관측한다. *교수의 생각대로 피치가 아주 느린 속도로 흐르는 물질이라 깔때기 속에 녹은 피치를 굳히는 데만 3년이 걸림 1930.10 실험시작 후 8년이 지나서야 첫 번째 방울이 떨어짐 이후 두 번째 방울은 9년이 지난 1947년이었다. 세 번째 방울이 떨어지기 전 파넬 교수는 세상을 떠났다. 그렇게 실험연구 장비는 방치되었다가 196.. 2024. 2. 14.
레이저 따라 우주선 주차, 착륙 유도 장치란? NASA가 달 표면에 설치할 '착륙 유도 장치'의 기초가 되는 반사 시험에 성공했다. 달을 도는 정찰 궤도선에서 발사한 레이저가 인도의 무인 착륙선 '비크람'에 설치된 반사경에 맞고 되돌아온 것이 확인되었다. 이 시험을 통해 착륙선이 달에 내려갈 때 정확한 하강 위치, 속도, 그리고 달 표면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등의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1969년 7월 20일, 미합중국의 아폴로 11호로부터 분리된 월면 착륙선 '이글호'가 달로 접근 중이었다. 이 착륙선의 주된 임무는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과 닐 암스트롱을 달 표면까지 안전히 이송하는 것이었다. 고도가 낮아질 때까지 큰 장애 없이 진행되던 중, 암스트롱이 착륙 예정 지점에 큰 바위가 널려 있는 것을 목격하고 긴장한다. 이 상태로 착륙을 .. 2024. 2. 1.
오이를 싫어하는 이유 : 유전자 때문 오이를 안 좋아하는 건, 의외로 우리 유전자에서 비롯될 수도 있어요. 오이의 쓴맛 처음에, 오이의 쓴맛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오이가 쓴맛을 내는 이유는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성분 때문인데, 이건 사실 오이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거예요. 쓴맛을 감지하는 유전자가 있는 분들은 오이 맛을 좀 부담스럽게 느끼실 수 있어요. 미국 유타대에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오이 맛에 대한 이런 호불호는 쓴맛을 느끼는 유전자 때문이라고 하더라고요. 우리 염색체 7번에 있는 특정 유전자(TAS2R38) 때문에 쓴맛을 얼마나 민감하게 느끼는지가 달라지는데, PAV 형을 가진 분들은 AVI 형을 가진 분들보다 쓴맛을 100~1000배 더 강하게 느낀다고 해요. 특히 부모님 두 분 모두에서 PAV 형 유전자를 물려.. 2024. 2. 1.
겨울철 필수품, 핫팩의 작동 원리 추운 겨울, 얼어붙은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해주는 마법 같은 존재, 바로 핫팩입니다. 핫팩은 부직포 주머니 안에 담긴 가루가 열을 발생시켜 온기를 전달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우리의 겨울을 따뜻하게 만들어 줍니다. 포장을 뜯고 핫팩을 꺼내 흔들거나 주무르기만 하면, 약 3~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온기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핫팩 안에서는 어떤 과정을 통해 열이 발생하는 걸까요? 핫팩의 비밀은 바로 그 안에 들어 있는 철가루에 있습니다. 철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게 되면 산화 반응을 일으키며, 이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산화 반응이란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철의 경우 녹이 생기게 됩니다. 평소에는 철의 산화 반응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어 열을 느끼기 어렵지만, 핫.. 2024.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