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킨슨병은 도파민을 분비하는 뇌 세포가 파괴되면서 생기는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운동과 연관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부족해지면 손 떨림, 경직, 보행장애 등이 나타납니다.
파킨슨병이 생기면 도파민을 보충해 주는 약물치료를 하지만 진행을 더디게 할 뿐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
그래서 줄기세포 치료가 시도됩니다.
우리나라 분당차병원 연구진이 파킨슨병을 줄기세포로 치료하는 길을 열었습니다.
자궁 외 임신으로 떼어낸 임신 14주 태아를 산모의 동의를 얻어 기증을 받았습니다.
연구진은 태아의 뇌에서 도파민 줄기세포를 꺼내 증식한 뒤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했습니다.
머리를 고정한 뒤 구멍을 뚫어 뇌의 정확한 위치에 줄기세포를 넣었습니다.
첨단 뇌수술인 뇌정위수술입니다.
■ "탁구는 수준급, 파크골프도 즐겨"
10년 전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60대 여성을 취재했습니다.
이 여성은 43살에 파킨슨병 진단을 받고 약물을 복용했습니다.
처음엔 괜찮았지만, 약물 복용 5년 뒤부터 약효가 떨어져 몸이 심하게 떨렸습니다.
수저를 들 수 없을 정도로 손이 떨려 식사를 못했고, 옷을 입기도 힘들었습니다.
이 환자는 뇌 수술을 통해 줄기세포를 이식받은 뒤 운동까지 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됐습니다.
탁구는 수준급이고, 파크골프도 즐겨합니다.
■ 도파민 줄기세포 치료, 증상 40% 호전
이 여성을 포함해 15명이 줄기세포 이식 임상시험을 받았습니다.
줄기세포를 많이 이식받을수록 증상이 더 호전돼 높은 용량의 줄기세포를 이식받은 환자는 파킨슨병 점수가 40% 좋아졌습니다.
이식된 세포는 도파민을 분비하는 세포로 바뀌어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해 줍니다.
그동안 간헐적으로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소식이 들려왔죠.
하지만 10명 이상 환자의 뇌에 줄기세포를 이식해 효과를 검증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전엔 환자에게 이식할 충분한 양의 줄기세포를 얻으려면 태아의 뇌 4~5개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여러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를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
이후 줄기세포를 증식하는 기술이 개발돼 지금은 태아 한 명의 뇌에서 꺼낸 줄기세포를 충분한 양으로 증식할 수 있습니다.
걸림돌이 사라진 거죠.
■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5년 뒤 본격화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가 가능할까요?
이번 임상시험은 2상이었습니다.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는 3상 임상시험이 남아 있습니다.
연구진은 좀 더 효과가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태아 도파민 줄기세포를 찾아 증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줄기세포로 3상 임상시험에 성공하면 허가를 거쳐 도파민 줄기세포 치료제가 상업화됩니다.
본격적인 줄기세포 치료는 빨라야 5년 뒤쯤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과학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행성에서 ‘RNA’ 일부 물질 발견…‘생명체 외계기원설’ 탄력 (0) | 2023.03.24 |
---|---|
지질학계 “1950년대부터 人類世(인류세) 시작”...그 근거로 지목된 충격적 화석 / 플라스틱 화석 (0) | 2023.03.23 |
리튬이차전지 비켜라…“폭발위험 없는 전고체전지 성능 UP” (0) | 2023.03.22 |
달을 향한 인류의 여정…53년만에 다시 달로 (0) | 2023.03.22 |
‘무는 힘’ 치악력이 가장 강한 동물은 티라노? 메갈로돈? (0) | 2023.03.22 |
댓글